맨위로가기

1934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4년 FIFA 월드컵은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제2회 FIFA 월드컵이다. 이탈리아는 1932년 FIFA 총회에서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원을 받아 유치에 성공했다. 지역 예선을 거쳐 총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이집트가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대회는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탈리아가 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꺾고 우승했다. 하지만 이 대회는 심판 매수, 무솔리니의 개입 등 부정부패와 논란으로 얼룩져 "역대 최악의 월드컵"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6월 - 장검의 밤
    장검의 밤은 1934년 나치 독일에서 아돌프 히틀러가 돌격대 수장, 정적 등을 숙청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독재 체제를 공고히 한 사건이다.
  • 1934년 이탈리아 - 제2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제2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는 《아란의 사나이》와 《테레사 콘팔로니에리》가 각각 외국 영화상과 이탈리아 영화상을 받았고, 월레스 비어리와 캐서린 헵번이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1934년 FIFA 월드컵
기본 정보
대회 이름1934 FIFA 월드컵
다른 이름World's Cup
Campionato Mondiale di Calcio
Italia 1934
공식 포스터
개최국이탈리아
개최 기간1934년 5월 27일 – 1934년 6월 10일
참가 팀 수16
대륙 연맹 수4
개최 도시 수8
개최 장소 수8
결과
우승 횟수1
통계
총 경기 수17
총 득점70
총 관중 수363000
득점왕올드리히 네예들리 (5골)
대회 정보
이전 대회1930
다음 대회1938

2. 개최국 선정

국제 축구 연맹(FIFA) 집행위원회가 8번 회의를 거치는 긴 유치 과정 끝에 1932년 10월 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이탈리아가 제2회 대회 개최국으로 결정되었다.[30] 이탈리아 유치위원회는 총회에서 모든 개최 비용을 지불하고,[31] FIFA 관계자와 참가국 선수에게 철도 요금 무료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등[32] 집요한 개최 공세를 펼쳤다. 이러한 이유로 위원들은 투표 없이 이탈리아를 개최국으로 선정하였고,[30][33] 이탈리아 정부는 대회 개최를 위해 예산을 할당했다.[34]

3. 지역 예선

1934년 FIFA 월드컵은 36개국이 참가 신청을 하여 예선 경기를 통해 16개 팀을 선발했다.[5] 우루과이이전 월드컵에 여러 유럽 국가들이 참가를 거부한 것에 항의하며 불참했고,[8] 영국 본토 국가들도 FIFA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참가를 거부했다.[10] 잉글랜드 축구 협회 위원 찰스 서트클리프는 이 대회를 "농담"이라고 폄하하기도 했다.[11]

개최국 이탈리아는 예선을 치른 유일한 개최국이다.[5] 예선은 지리적 기준으로 편성되었고, 칠레페루의 기권으로 아르헨티나브라질은 자동 진출했다.[12]

16개 진출권 중 12개는 유럽, 3개는 아메리카, 1개는 아프리카 또는 아시아(터키 포함)에 할당되었다. 미국은 대회 시작 3일 전 멕시코를 꺾고 마지막으로 본선에 합류했다.[13]

3. 1. 본선 진출국

1934년 FIFA 월드컵 출전국


36개국이 참가를 신청하여 예선 경기를 통해 16개 팀을 선발했다.[5] 우루과이이전 월드컵에 유럽 국가들이 불참한 것에 대한 항의로 불참했다.[8] 영국 본토 국가들도 FIFA의 초청에도 불구하고 참가를 거부했다.[10]

개최국인 이탈리아도 예선을 치렀으며, 이는 개최국이 예선을 거친 유일한 사례이다.[5] 예선은 지리적 기준으로 편성되었다. 칠레페루의 기권으로 아르헨티나브라질은 자동 진출했다.[12]

16개 진출권 중 12개는 유럽, 3개는 아메리카, 1개는 아프리카 또는 아시아(터키 포함)에 할당되었다. 본선 진출팀 중 유럽 외 지역 출신은 4개 팀(브라질, 아르헨티나, 미국, 이집트)뿐이었다. 미국은 대회 시작 3일 전 멕시코를 꺾고 마지막으로 본선에 합류했다.[13]

지역예선국가/팀
유럽 (UEFA)21개 팀 중 12개 팀 (개최국 포함 12장)스웨덴, 스페인, 이탈리아 (개최국),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루마니아,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프랑스
남미 (CONMEBOL)4개 팀 중 2개 팀 (2장)브라질, 아르헨티나
북중미&카리브 (CONCACAF)4개 팀 중 1개 팀 (1장)미국
아시아&아프리카 (AFC·CAF)3개 팀 중 1개 팀 (1장)이집트



이 중 10개 팀(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집트)이 처음으로 월드컵에 출전했다.[26] 특히 이집트는 아프리카 국가로는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26]

대륙 연맹출전
횟수
예선
예선 순위
출전국·지역출전 횟수
UEFA12유럽 예선1조1위스웨덴첫 출전
2조1위스페인첫 출전
3조1위이탈리아첫 출전·개최국
4조1위헝가리첫 출전
2위오스트리아첫 출전
5조1위체코슬로바키아첫 출전
6조1위스위스첫 출전
2위루마니아2회 연속 2회째
7조1위네덜란드첫 출전
2위벨기에2회 연속 2회째
8조1위독일첫 출전
2위프랑스2회 연속 2회째
CONMEBOL2남아메리카 예선9조1위브라질2회 연속 2회째
10조1위아르헨티나2회 연속 2회째
CONCACAF1북중미카리브해 예선11조1위미국2회 연속 2회째
CAF/AFC1아프리카·아시아 예선12조1위이집트첫 출전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볼로냐피렌체제노바밀라노
레나토 달라라 경기장아르테미오 프란키 경기장루이지 페라리스 경기장주세페 메아차 경기장
수용인원: 39,000명수용인원: 47,282명수용인원: 36,536명수용인원: 26,000명
나폴리로마트리에스테토리노
조르지오 아스카렐리 경기장국가 파시스트당 국립 경기장Stadio del Littorio|스타디오 델 리토리오it무솔리니 경기장
수용인원: 74,000명수용인원: 50,000명수용인원: 38,000명수용인원: 68,000명
1934년 당시 경기장


5. 대회 진행 방식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된 조별 리그 방식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90분 경기 후 동점이면 30분의 연장전이 진행되었다. 연장전 후에도 점수가 같으면 다음 날 재경기가 치러졌다.[1]

8개의 시드 배정 팀( 아르헨티나,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은 1라운드에서 서로 만나지 않도록 배정되었다.[1]

6. 사건 및 논란

국제 축구 연맹(FIFA) 집행위원회는 8번의 회의를 거치는 긴 유치 과정 끝에[29] 1932년 10월 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이탈리아를 제2회 대회 개최지로 결정했다.[30]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시를 받은 이탈리아 유치위원회가 총회에서 모든 개최 비용을 지불하고,[31] FIFA 관계자와 참가국 선수에게 철도 요금 무료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등[32] 적극적인 유치 공세를 펼친 덕분에 위원들의 투표 없이 결정되었고,[30][33] 이탈리아 정부는 대회 개최를 위해 350만 리라의 예산을 할당했다.[34]

16강전 8경기는 모두 동시에 시작되었으며,[15] 개최국 이탈리아는 미국을 7-1로 크게 이겼다. ''뉴욕 타임즈'' 특파원은 "시카고 출신의 율리우스 휴줄리안 골키퍼의 활약이 아니었다면 더 큰 점수 차가 났을 것"이라고 보도했다.[16]

내부 분쟁으로 인해 1930년 결승전에 진출했던 아르헨티나 대표팀 선수는 단 한 명도 1934년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결국 아르헨티나는 아마추어 선수들로 팀을 꾸려 참가하게 되었다.[17] 볼로냐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는 두 번이나 앞서갔지만, 스벤 요나손의 두 골과 크누트 크룬의 결승골로 스웨덴이 3-2로 승리했다.[18] 같은 남미 국가인 브라질도 스페인에 3-1로 패하며 조기에 탈락했다.[19]

월드컵 역사상 유일하게 8강에 유럽 팀만 진출했다.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가 8강에 올랐으며, 비유럽 4개국은 모두 1경기 만에 탈락했다.

8강전에서는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재경기가 열렸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것이다. 경기는 매우 격렬하게 진행되어 양 팀 모두 여러 명의 선수가 부상을 입었다. 스페인 골키퍼 리카르도 사모라는 1차전에서 부상으로 재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이탈리아 선수 마리오 피치올로는 다리 골절상을 입어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게 되었다.[20]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는데, 너무 거친 플레이로 스페인 선수 3명 이상이 부상으로 경기장을 떠나야 했다.[21]

이 대회는 뇌물과 부정부패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탈리아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가 대회를 선전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경기의 심판을 직접 선정했고, 이탈리아 정부는 파시즘 홍보를 위해 경기 물류를 재구성하는 등 FIFA의 행사 조직에 간섭했다는 주장이 있다.[22][8][23][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다음 대회 (프랑스 개최)와 1936년 올림픽 축구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대회 준우승국인 아르헨티나는 우승국 우루과이의 불참으로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루이스 몬티, 라이문도 오르시 등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이탈리아로 국적을 바꾸면서 선수 부족으로 스웨덴에 패해 조기 탈락했다.

제2회 대회는 처음으로 대륙별 예선이 실시된 대회이다. 참가국은 13개국에서 32개국으로 증가했지만, 유럽 국가가 22개국이었다. 전 대회 우승국 우루과이유럽 참가국이 4개국에 불과했던 것에 항의하며 참가를 포기했다. 당시에는 개최국 자동 진출권이 없었기 때문에 이탈리아도 예선부터 참가했다.

6. 1. 무솔리니의 대회 개입

베니토 무솔리니는 축구를 자신의 정치적 입지로 활용하고 파시즘의 정당성과 정치적 지지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FIFA 월드컵 개최지 선정부터 운영 방식, 심판 매수 등에 깊숙하게 관여하여 이탈리아를 우승시키려 했다.[35][36] 무솔리니는 지난 대회 준우승팀인 아르헨티나의 선수였던 오르시, 과이타, 몬티를 협박해 이탈리아로 귀화시켰고,[32][37] 이탈리아 선수에게는 '우승하지 못하면 사형'이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내는 등 대표팀에 압력을 가했다.[31][38]

8강전에서 스페인과 무승부를 기록한 이탈리아는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는데, 이탈리아 정부는 당시 경기의 주심이었던 렌 메르세(스위스)에게 로비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8] 준결승에서 이탈리아와 경기했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요제프 비찬은 "심판들도 이탈리아를 위해 뛰었다."고 증언했고,[36]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안타 자보는 "졌지만 우리 11명은 살았다"며 당시의 살벌한 분위기를 언급했다.[38] 이처럼 두 번째 월드컵이자 유럽에서 처음 열린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독재 정부의 압력과 외압으로 인해 여러 의혹을 남기며 월드컵 역사상 가장 추악하고 불미스러운 우승을 차지했다.[38] 우승 후, 이탈리아 선수들은 1인당 1500000GBP와 자동차를 받고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32]

한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무솔리니의 독재 정치와 불합리한 대회 운영에 항의하며 2군 선수들을 내보냈다.[39] 특히 아르헨티나는 루이스 몬티, 라이문도 오르시, 엔리케 과이타 등 3명의 스타 플레이어를 이탈리아에 빼앗긴 상황이라 무솔리니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했다.

이 대회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 통치하의 이탈리아 왕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심판과 상대팀에 강한 압력이 가해졌다. 또한 전 대회 준우승국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을 귀화시켰고, 귀화 선수들이 이탈리아 팀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준결승전 심판이었던 이반 에크린드는 나중에 무솔리니에게 매수되었다는 사실을 증언했으며, 노골적으로 이탈리아에 유리한 판정을 반복했고, 당시 원더팀으로 불리며 우승 후보 1순위였던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오스트리아 선수의 크로스를 직접 걷어내는 등의 행위를 했다. 대회 종료 후 이탈리아전 심판 중 일부는 모국으로부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상술한 배경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월드컵”'''으로 알려져 있다.

6. 2. 오심 문제

16강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경기에서 연장 후반 3분 오스트리아의 지알이 넣은 골에 대해 부심이 오프사이드 기를 들었지만 네덜란드 출신인 주심 판 무어셀은 골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경기가 끝난 후 판 무어셀은 "밀라노에서 벌어진 스위스-네덜란드 전에서 스위스가 네덜란드를 3-2로 격파했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아 그만 뼈아픈 오심을 자행했다."라고 밝혔다.[40]

이 대회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 통치하의 이탈리아 왕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심판과 상대팀에 강한 압력이 가해졌다. 또한 전 대회 준우승국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을 귀화시켰고, 귀화 선수들이 이탈리아 팀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준결승전 심판이었던 이반 에크린드는 나중에 무솔리니에게 매수되었다는 사실을 증언했으며, 노골적으로 이탈리아에 유리한 판정을 반복했고, 당시 원더팀으로 불리며 우승 후보 1순위였던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오스트리아 선수의 크로스를 직접 걷어내는 등의 행위를 했다. 대회 종료 후 이탈리아전 심판 중 일부는 모국으로부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상술한 배경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월드컵”'''으로 알려져 있다.

6. 3. 선수 유출

이 대회를 계기로, 주로 남미에서 유럽 대표팀으로 선수 유출(예를 들어 1950년부터 1965년까지 15년간 800명이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으로 유출)이 가속화되어 남미 각 대표팀의 전력이 약화되었다. 1962년 제7회 칠레 월드컵 종료 후 FIFA는 평생 1개 대표팀(처음 국제 경기에 출전했을 때의 국적 대표팀만 출전 가능)으로 규정했다.[28] 현재는 중복 국적자 예외 규정이 있다.

6. 4. 독일 선수단의 집단 구속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 준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하자 아돌프 히틀러는 자국의 선수단을 집단 구속시켰다.[38]

7. 결선 토너먼트

1934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에서는 이탈리아, 스페인,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스위스, 스웨덴, 독일이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27]

8강전에서는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가 각각 스웨덴, 스위스, 헝가리를 꺾고 4강에 진출했다.[27]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1 무승부를 기록, 재경기 끝에 이탈리아가 1-0으로 승리하여 4강에 합류했다.[27]

준결승전에서는 이탈리아가 오스트리아를 1-0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독일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27]

3·4위전에서는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3-2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1]

결승전에서는 이탈리아가 체코슬로바키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7] 이 대회는 베니토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의 압력, 심판 매수 의혹, 귀화 선수들의 활약 등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월드컵"이라는 논란이 있었다.[27]

7. 1. 16강전

(연장)프랑스진델라 (44), 샬 (93), 비칸 (109')니콜라스 (18), 베리엣 (116)5월 27일트리에스테 경기장 (트리에스테)체코슬로바키아2 - 1루마니아푸츠 (50), 네예들리 (67)도바이 (11')5월 27일산 시로 (밀라노)스위스3 - 2네덜란드킬홀츠 (7, 43), 아베글렌 (69')스미트 (19), 벤트 (84)5월 27일레나토 달라라 경기장 (볼로냐)스웨덴3 - 2아르헨티나요나손 (9, 67), 크룬 (79')벨리스 (4), 갈라테오 (48)5월 27일아르테미오 프란키 경기장 (피렌체)독일5 - 2벨기에코비에르스키 (25), 시플링 (49), 코넨 (66, 70, 87')부르후프 (29, 43)


7. 2. 8강전

1934년 5월 31일, 8강전 4경기가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6월 1일, 피렌체에서 열린 재경기에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경기날짜시간경기장관중수결과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vs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5월 31일16:30산 시로 (밀라노)3,0002 - 1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vs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5월 31일16:30무솔리니 경기장 (토리노)12,0002 - 3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vs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5월 31일16:30레나토 달라라 경기장 (볼로냐)23,0002 - 1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vs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1934년 5월 31일16:30아르테미오 프란키 경기장 (피렌체)35,0001 - 1 (연장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vs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재경기)1934년 6월 1일16:30아르테미오 프란키 경기장 (피렌체)43,0000 - 1 '''

[8]

7. 3. 준결승전

1934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은 1934년 6월 3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 밀라노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이탈리아오스트리아를 1-0으로 꺾었고, 로마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독일을 3-1로 이겼다.

경기 날짜경기 장소승리 팀결과패배 팀
1934년 6월 3일밀라노이탈리아1 - 0오스트리아
1934년 6월 3일로마체코슬로바키아3 - 1독일


7. 4. 3·4위전

1934년 6월 7일 나폴리의 스타디오 조르조 아스카렐리(Stadio Partenopeo)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독일오스트리아를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경기 시작 1분 만에 에른스트 레너가 득점하였고, 27분에는 에드문트 코넨이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11] 오스트리아는 28분에 요한 호르바트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42분에 레너가 다시 득점하여 독일이 3-1로 앞서나갔다.[11] 후반 9분, 카를 세슈타가 득점하며 오스트리아가 추격했지만, 결국 독일이 3-2로 승리했다.[11] 이 경기의 관중 수는 7,000명이었고, 주심은 이탈리아의 알비노 카라로였다.[11]

7. 5. 결승전

1934년 6월 10일, 로마국가 파시스트당 국립 경기장에서 제2회 FIFA 월드컵 결승전이 열렸다. 이 경기는 체코슬로바키아이탈리아의 대결로, 55,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다.[27]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이탈리아가 2-1로 승리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푸츠가 후반 76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이탈리아의 오르시가 후반 81분에 동점골을, 스키아비오가 연장 전반 95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27]

이로써 이탈리아는 자국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을 안았다. 그러나 이 대회는 베니토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의 압력, 심판 매수 의혹, 귀화 선수들의 활약 등으로 인해 "역대 최악의 월드컵"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27]
경기 정보

항목내용
날짜1934년 6월 10일
시간17:00 (현지 시간, UTC+2)
팀 1이탈리아
득점1 – 2 (연장전)
팀 2체코슬로바키아
골 1푸츠 (76')
골 2오르시 (81)
스키아비오 (95
)
경기장국가 파시스트당 국립 경기장 (로마)
관중 수55,000명
심판이반 에클린드 (스웨덴)


양 팀 선수 명단

선수 명단
이탈리아체코슬로바키아
GK잔피에로 콤비 (주장)GK프란티셰크 프라니치카 (주장)
RB에랄도 몬젤리오RB요제프 치티조키
LB루이지 알레만디LB라디슬라프 제니셰크
RH아틸리오 페랄리스RH루돌프 크루칠
CH루이스 몬티CH슈테판 찬발
LH루이지 벨트리니LH요제프 코슈차렉
OR엔리케 과이타OR안토닌 푸치
IR주세페 메아차IR올드리히 네예드리
IL조반니 페랄리IL프란티셰크 스보보다
OL라이문도 오르시OL프란티셰크 유네크
CF안젤로 스키아비오CF이지 소보트카
감독비토리오 포초감독카렐 페트루


8. 우승국

193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은 이탈리아이다. 이탈리아는 결승전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은 1934년 6월 10일 로마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에서 열렸으며, 5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주심은 스웨덴의 이반 에클린드였다.

이탈리아는 라이문도 오르시안젤로 스키아비오의 득점으로, 안토닌 푸치가 득점한 체코슬로바키아에 승리했다.
경기 상세 정보

이탈리아 (Italia|이탈리아it)체코슬로바키아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잔피에로 콤비 (주장)GKGK프란티셰크 프라니치카 (주장)
에랄도 몬젤리오RBRB요제프 치티조키
루이지 알레만디LBLB라디슬라프 제니셰크
아틸리오 페랄리스RHRH루돌프 크루칠
루이스 몬티CHCH슈테판 찬발
루이지 벨트리니LHLH요제프 코슈차렉
엔리케 과이타OROR안토닌 푸치
주세페 메아차IRIR올드리히 네예드리
조반니 페랄리ILIL프란티셰크 스보보다
라이문도 오르시OLOL프란티셰크 유네크
안젤로 스키아비오CFCF이지 소보트카
감독: 비토리오 포초감독: 카렐 페트루


9. 득점 선수

득점 수선수국가
5올드르지흐 네예들리Oldřich Nejedlý|올드리히 네예들리cs
4에드문트 코넨Edmund Conen|에드문트 코넨de
4안젤로 스키아비오Angelo Schiavio|안젤로 스키아비오it
3라이문도 오르시Raimundo Orsi|라이문도 오르시it
3레오폴드 키엘홀츠Leopold Kielholz|레오폴트 키엘홀츠de
2한스 호바스Johann Horvath|요한 호르바트de
2베르나르드 부르후프Bernard Voorhoof|베르나르트 포어호프nl
2안토닌 푸치Antonín Puč|안토닌 푸치cs
2압델 파우지عبد الرحمن فوزي|압둘라흐만 파우지ar
2카리 호흐만Karl Hohmann|카를 호만de
2에른스트 레히너Ernst Lehner|에른스트 레너de
2게차 톨디Géza Toldi|게저 톨디hu
2조반니 페라리Giovanni Ferrari|조반니 페라리it
2주세페 메아차Giuseppe Meazza|주세페 메아차it
2호세 이라라고리José Iraragorri|호세 이라라고리es
2스벤 요나손Sven Jonasson|스벤 요나손sv
1에른스토 벨리스Ernesto Belis|에르네스토 벨리스es
1알베르토 갈라테오Alberto Galateo|알베르토 갈라테오es
1조셉 비칸Josef Bican|요제프 비칸de
1토니 샬Anton Schall|안톤 샬de
1칼 세스타Karl Sesta|카를 세스타de
1마티아스 진델라Matthias Sindelar|마티아스 진델라de
1칼 지스첵Karl Zischek|카를 지셰크de
1레오니다스Leônidas da Silva|레오니다스 다 시우바pt
1지리 소보트카Jiří Sobotka|이르지 소보트카cs
1프랜티섹 스보보다František Svoboda|프란티셰크 스보보다cs
1장 니콜라스Jean Nicolas|장 니콜라프랑스어
1조지 베리엣Georges Verriest|조르주 베리스트프랑스어
1스타니슬라우스 코비에르스키Stanislaus Kobierski|스타니슬라우스 코비에르스키de
1루돌프 노아크Rudolf Noack|루돌프 노아크de
1오토 시플링Otto Siffling|오토 지플링de
1기요르기 사로시György Sárosi|죄르지 샤로시hu
1팔 텔레키Pál Teleki|팔 텔레키hu
1제뇨 빈체Jenő Vincze|예뇌 빈체hu
1엔리케 과이타Enrique Guaita|엔리케 과이타it
1킥 스미트Kick Smit|킥 스밋nl
1린 벤트Leen Vente|렌 벤터nl
1스테판 도베이Ștefan Dobay|슈테판 도바이ro
1이시드로 랑가라Isidro Lángara|이시드로 랑가라es
1루이스 레게이로Luis Regueiro|루이스 레게이로es
1괴스타 던커Gösta Dunker|괴스타 둔케르sv
1크넛 크룬Knut Kroon|크누트 크론sv
1안드레 아베글렌André Abegglen|앙드레 아베글렌프랑스어
1윌리 쟈기Willy Jäggi|빌리 예기de
1알도 도넬리Aldo Donelli|알도 도넬리영어


10. 최종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이탈리아 (Regno d'Italia|이탈리아 왕국it)5410123+99
2체코슬로바키아430196+36
3독일 (Deutsches Reich|독일국de)4301118+36
4오스트리아42027704
8강전 탈락
5스페인 (República Española|스페인 제2공화국es)311143+13
6헝가리 (Magyar Királyság|헝가리 왕국hu)210154+12
7스위스21015502
8스웨덴21014402
16강전 탈락
9아르헨티나100123−10
프랑스 (Deuxième République|프랑스 제2공화국프랑스어)100123−10
네덜란드100123−10
12루마니아100112−10
13이집트 (مملكة مصر|이집트 왕국ar)100124−20
14브라질 ()100113−20
15벨기에100125−30
16미국100117−60



1986년, 국제축구연맹(FIFA)은 1986년까지의 각 월드컵에 참가한 모든 팀을 대회 성적, 전체 결과 및 상대 팀의 질(재경기 결과는 제외)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 보고서를 발표했다.[25][26]

11. 기타


일시선수국가상대 국가비고
1934년 5월 27일안젤로 스키아비오이탈리아 왕국미국해트트릭 4호
1934년 5월 27일에드문트 코넨독일벨기에해트트릭 5호
1934년 6월 4일올드르지흐 네예들리체코슬로바키아독일해트트릭 6호


참조

[1] 서적 FIFA book of statutes Gebr. Fey & Kratz 1955
[2] 논문
[3] 웹사이트 FIFA World Cup 1934 Italy. Federale 102 https://www.worldcup[...] 2021-07-09
[4] 논문
[5] 논문
[6] 웹사이트 History of FIFA – The first FIFA World Cup https://web.archive.[...] FIFA 2018-06-14
[7] 논문
[8] 웹사이트 When the World Cup rolled into fascist Italy in 1934 https://thesefootbal[...] 2018-06-14
[9] 논문
[10] 웹사이트 British football and FIFA, 1928-46: Going to war or peacefully coexistence? https://web.archive.[...] 2018-02-27
[11] 서적 The Leaguers: The Making of Professional Football in England 1900-1939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12] 논문
[13] 웹사이트 World Cup History: 1934 http://www.espnfc.co[...] 2018-06-15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비디오 Fascism and Football https://www.youtube.[...] BBC 2009
[23] 웹사이트 Research: World Cup matches fixed in '34, '78 http://www.espn.com/[...] 2021-07-09
[24] 웹사이트 When worlds collide: Soccer vs. politics http://edition.cnn.c[...] 2018-06-14
[25] 웹사이트 Mexico 1986 https://digitalhub.f[...] FIFA 2021-07-08
[26]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eb.archive.[...] FIFA
[27] 문서 제4회 월드컵 우승 결정 방식
[28] 서적 월드컵의 국제 정치학
[29] 서적 Complete Book of the World Cup 2006
[30] 서적 World Cup Stories
[31] 뉴스 2회 이탈리아대회<상>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4-03
[32] 뉴스 파시즘 '얼룩' 2회 월드컵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1-20
[33] 웹사이트 History of FIFA - The first FIFA World Cup https://web.archive.[...] FIFA 2009-12-01
[34] 서적 The Ball is Round
[35] 뉴스 전쟁과 평화, 그리고 아우름… 영욕을 넘나든 월드컵 https://web.archive.[...] 경향신문 2010-06-15
[36] 뉴스 올림픽과 쇼비니즘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2-20
[37] 문서 ""
[38] 뉴스 ⑦ 정치적 악용의 얼룩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6-05-24
[39] 뉴스 외치고 싶다, 어디에서고, “대~한민국!”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6-09
[40] 뉴스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http://sports.media.[...] 미디어다음 2011-04-10
[41] 문서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